# 사회인야구를 즐긴다면 포수(에 의한) 투수 보크에 대해 미리 알아 둬야 한다. 결정적인 순간 다 잡은 승리를 상대팀에게 넘겨줄 수도 있기 때문이다.
# 사례
7회말 2아웃 1대1 동점상황. 공격팀의 발빠른 주자가 2루와 3루에 있습니다. 볼카운트 1스트라이크1볼에서 투수가 와인드업으로 피칭에 들어가자 공격팀의 3루주자가 과감하게 홈스틸을 시도합니다. 이때 투수는 피칭동작을 멈추지않고 투구를 했고 포수는 빠르게 일어나 홈플레이트 앞으로 뛰어나가며 공을 잡아 홈으로 쇄도하는 3루주자가 홈플레이트에 도착하기 이전에 태그했습니다. 그러나 왠일인지 심판은 득점을 인정했고 경기는 공격팀의 승리로 끝났습니다. 왜일까요?
# 해설
이는 심판이 포수의 실수에 따라 투수에게 보크를 선언했기 때문입니다.
사회인야구에서는 자주 일어나지 않는 상황이지만, 결정적인 순간 팀에 패배를 안겨줄 수도 있는 포수(에 의한) 투수 보크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하겠습니다.
보크(BALK)는 통상 투수에게 일어나지만, 꼭 투수에게만 적용되는 규정은 아닙니다. 포수의 플레이에 의해서도 보크가 선언될 수 있습니다.
야구규칙 7.07(아래 첨부)에는 위 사례와 같은 상황을 설정해 놓고 명확하게 포수에 의한 투수 보크에 따른 타자와 3루주자의 안전진루권을 보장하고 있습니다.
즉, 투수가 투구판에서 발을 떼지 않고 투구에 들어간 경우 포수는 자신이 공을 잡기 이전에는 포수의 자리를 떠나 홈플레이트 위로 나와 타자의 스퀴즈플레이를 방해해서는 안되는 것입니다.
이 때 3루주자는 홈스틸을 했고 2루주자는 도루를 시도하지 않았다면 2루 주자에게는 진루권을 보장하지 않는다고 해석됩니다. 이는 '도루때 타격방해(7.04의 (d)) 규정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보기 때문입니다.
물론 이와 관련한 판단은 심판의 몫입니다. 심판의 판단에 의해 포수가 자신의 자리를 떠나 타자의 스퀴즈를 방해했거나, 홈플레이트 위로 이동했다고 인정될 때만 포수보크가 선언될 수 있는 것이라고 하겠습니다.
물론, 심판이 이러한 상황에서 포수가 먼저 홈플레이트에 위에 올라갔는지를 명확히 알고 있었음에도 아우트를 선언했고 이에 대한 포수 보크 규정을 몰랐거나 (상관없다고) 잘못 알고 있었다면 공격팀의 감독은 어필에 의해 정정요구를 할 수 있습니다. 이는 스트라이크/볼 페어/파울 아우트/세이프 등 6개 판정에 대해서는 어필이 불가하다고 하지만 규칙의 잘못된 적용에 근거했다면 어필이 가능하고 정정도 가능하기 때문입니다.(야구규칙 9.02 참조)
# 적용 야구규칙
7.07 3루주자가 스퀴즈 플레이 또는 도루를 통해 득점하려고 할 때 포수나 다른 야수가 공을 갖지 않은 채 본루 위 또는 그 앞으로 나오거나 타자나 타자의 방망이를 건드렸을 경우 투수에게 보크를 선고하고 타자는 인터피어(타격방해)에 의해 1루가 주어진다. 이때는 볼 데드가 된다."
7.04 (d) 주자가 도루를 시도했을 때 타자가 포수나 다른 야수로부터 방해를 받았을 경우
9.02 (a) 타구가 페어이냐 파울이냐, 투구가 스트라이크이냐 볼이냐,또는 주자가 아웃이냐 세이프이냐 하는 심판원의 판단에 따른 재정은 최종의 것이다. 선수, 감독, 코치 또는 교체선수는그 재정에 대하여 이의를 제기할 수 없다.
[원주] 스트라이크·볼판정에 대하여 이의를 제기하려고 선수가 수비위치 또는 베이스를 이탈하거나, 감독이나 코치가 벤치 또는 코치석을 떠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투구판정에이의를 제기하기 위하여 본루쪽으로 오면 경고를 하고, 경고에도 불구하고 계속 다가오면 경기에서 퇴장시킨다.
(b) 심판원의 재정이 규칙에 위배될지도 모른다는 합당한 의심이있을 경우 감독만이 그 재정에 관하여 올바른 규칙 적용을 요구할 수있다. 이같은 어필은 부당한 재정을 내린 심판원에게만 하여야 한다.
<이무헌기자 http://blog.daum.net/bomyagu>
'애정야-애매한 것 정리하는 야구규칙 > 사례로 알아보는 야구규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스플레이와 태그(Tag)에 대한 이해 (0) | 2012.01.29 |
---|---|
'스트라이크 아웃 낫아웃'의 기원 (0) | 2012.01.25 |
'포수에 의한 투수 보크'에 대한 정확한 이해 (0) | 2012.01.25 |
타자주자의 '1루 안전귀루권'에 대하여 (0) | 2012.01.21 |
2012년 호반리그 대회규정 주요 항목[1]- 3, 4부간 승강제 도입 (0) | 2012.01.20 |